면접은 항상 어렵습니다. 누구나 마찬가지 입니다. 신입이던 경력이던 면접은 긴장됩니다. 저는 여러번 이직을 하며 많은 면접을 봤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면접에 떨어지지 않고 합격하는 기술이 생겼습니다.
1. 평가받는 자리가 아닌 대화하는 자리.
보통 면접이라 하면 면접관에게 평가받는 자리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겁나고 긴장해 실수하면 안된다는 부담감이 생깁니다.
하지만 면접은 서로 대화하는 자리입니다. 면접관은 지원자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어떤 마음가짐으로 지원했는지 알지 못합니다. 지원자도 회사가 다닐만 한지,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 기업문화는 어떤지 모릅니다.
서로의 궁금증을 알아기기 위해 시간을 내서 만나는 자리입니다. 그러니 질문을 받아도 긴장하지 말고 진짜 자신의 이야기를 차근차근 풀어나가면 됩니다. 반대로 면접 중간에도 궁금한게 생기면 질문을 해도 됩니다.
모두가 대답만 할 때 질문을 한다면 다른 지원자와 다르게 눈에 띄게됩니다. 또 질문을 한다는건 그만큼 생각을 많이 한다는 의미입니다. 면접관들이 질문을 좋게 보기 때문에 합격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2. 질문에 최대한 상세히 대답하자.
면접관이 질문하는 이유는 지원자가 누군지 모르고 알고싶기 때문에 합니다. 그러니 질문을 받으면 자신이 누구인지 잘 보여줄 수 있도록 자세히 대답하는게 좋습니다.
예시 1. 어디에 사시나요?
짧은 답 : 분당에 삽니다.
자세한 답 : 지금은 분당에 삽니다. 태어나기는 서울에서 태어났는데 초중학교를 보내고 고등학교를 진학하면서 부모님과 분당으로 이사를 왔습니다. 대학교는 서울에 있어서 학교근처에도 몇년 살았습니다.
예시 2. 취미가 어떻게 되나요?
짧은 답 : 집 주변을 산책합니다. 독서입니다.
자세한 답 : 저는 운동을 좋아합니다. 지금은 주로 집근처 공원에서 산책합니다. 예전에는 걷는걸 좋아해 헬스장을 많이 이용했습니다. 하루에 30분 ~1시간 정도 운동을 하기도 했습니다. 겨울이면 스키장도 가고 여름이면 등산도 합니다.
이런 식으로 간단한 질문에도 자세히 대답해서 면접관이 내 대답을 듣고 질문을 이어나가면 좋습니다. 자세히 대답할수록 면접관이 내 이야기를 듣고 추가 질문을 합니다. 그럼 자연스럽게 대화를 하게됩니다.
대화를 주고받으면 면접관도 자기이야기를 하기도 합니다. 서로 대화를 하다보면 친밀감도 생기고 긴장도 풀리면서 합격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3. 대답하기 전 3초간 정리하는 시간을 가지자.
질문을 받고 즉각 대답할 필요는 없습니다. 대화하는 중에 잠깐의 침묵은 괜찮습니다. 질문을 받고 몇 초간 생각하는 시간을 가지면 대답도 자연스럽고 자세히 대답이 나옵니다.
면접관 입장에서도 몇 초간 생각하고 하는 답변은 미리 준비한 기계적인 답변이 아닌 진심으로 생각해서 하는 답변이라 생각합니다.
그러니 답변하기전 눈을 아래로 깔거나 하늘을 쳐다보며 3초간 생각하는 시간을 가져봅시다.
4. 마지막 질문시간
면접의 마지막은 항상 지원자에게 질문의 기회를 줍니다. 이때 어떤 질문을 해야하는지 참 고민됩니다. 하지만 이것 역시 서로 대화를 한다 생각하면 어렵지않습니다.
내가 회사에 궁금하거나 면접에서 궁금했던 내용을 추가로 질문하면 됩니다. 면접관이 했던 말 중에 질문이 나온다면 잘 집중해서 들었다는 의미도 됩니다.
예시1. 뉴스에서 회사에 이런이런 이야기가 있던데 사실인가요?
예시2. 지금 회사 혹은 부장님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는 어떤게 있나요?
예시3. 제가 입사하게 되면 어떤 일을 하게되나요?
예시4. 제가 입사할 부서의 인력구성은 어떻게 되나요? 나이대나 성별구성은 어떻나요?
면접은 항상 어렵습니다. 하지만 서로 알아가는 자리고 대화하는 자리라 생각하면 덜 긴장하고 너무 어렵지 않게 그 자리를 마무리 할 수 있습니다. 취업을 앞둔 취준생과 이직을 준비하시는 분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생각하며 글을 마무리 하겠습니다.
'아무튼, 계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격증시험 공부 오래하고 싶으면 이 글을 읽지 마세요. (1) | 2024.02.08 |
---|---|
보험계리사란? (0) | 2024.01.21 |
계리 전체 업무 흐름, 계리사가 하는일 (3) | 2023.12.20 |
계리사로 일할 수 있는 직장 (3) | 2023.12.03 |
시험과목과 실무의 관계 - 계리모형론 (1) | 2023.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