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무튼, 계리사20

Stock 과 Flow, 저량과 유량 계리업무는 재무영역의 일부입니다. 유럽기준의 IFRS17, 미국기준의 US-GAAP / LDTI 를 평가하기 위해 알고있으면 좋은 stock와 flow의 개념을 설명합니다. 보조배터리를 생각해봅시다.완전히 충전을 했으면 100% 충전이 됩니다. 이제 보조배터리로 폰을 충전을 하다보면 배터리 충전량이 줄어들어 80%, 60% 등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처음에는 100% 였지만 집에 돌아 올때 쯤이면 20%만 남아있게 됩니다.  여기서 보조배터리의 충전량은 stock(저량)이 됩니다. 어느 한 시점을 기준으로 얼마나 남아있는지를 나타냅니다. 중간에 보조배터리를 이용해 폰을 충전했다면 충전하기 위해 사용된 전력이 flow(유량)이 됩니다. 시작 시점과 끝 시점 사이의 변화된 양을 의미합니다. 이제 이를 보험부채.. 2024. 8. 22.
IFRS17의 수익,비용 인식 상거래를 할 때 물건을 사고 팔때 돈을 받으면 수익, 돈을 쓰면 비용으로 인식을 합니다. 그렇다면 보험상품을 팔았을때도 똑같이 수익과 비용을 인식할까요? 돈을 받는 보험료를 수익으로 인식하고, 돈을 지출하는 보험지급금, 해약환급금 등을 비용으로 인식할까요? 과거 보험회계제도에서는 비슷하게 인식하였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회계제도인 IFRS17에서는 조금 다르게 수익과 비용을 인식하게 됩니다. 보험손익 = 보험수익 -  보험서비스비용 IFRS17에서는 수익,비용을 인식할때 모든 현금흐름을 그대로 수익비용으로 인식하지 않습니다. 해당 계약이 보험계약인지, 그리고 보험서비스와 관련이 있는지를 철저히 따지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 기준에 따라 보험영업활동과 얼마나관련이 있는지에 따라 회계처리 방식이 달라집니다. 1.. 2024. 7. 8.
당신이 계리사를 공부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보험계리사를 알게되고 시험을 준비하는 하는 이유는 사람마다 다를겁니다. 시험에 응시하는 대부분의 사람은 취업을 준비하는 사람일 겁니다. 다양한 이유로 계리사라는 직업에 흥미를 느끼고 앞으로 가질 직업으로 계리사를 선택하고 싶은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계리사 시험을 어떻게 준비하고 얼마나 준비해야 할지 고민이 많이 있습니다. 이번 글로 그런 고민을 조금 덜어 드리고자 합니다. 계리사라는 직업을 가질까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여러가지 질문이 생깁니다. 1차 시험에 집중해야 할까? 2차 시험과 병행해도 될까? 계리사 공부말고 어떤 걸 준비해야 할까? 수험공부만 해야할까? 인턴이나 신입공채에 지원 해야할까? 이런 고민을 하느라 머리가 아프다면 고민을 멈추고 스스로에게 다음 질문을 던져봤으면 합니다. 내.. 2024. 4. 1.
보험계리사가 하는일 보험계리 보험계리(Actuary)는 재무영역(Finance)에 속해있습니다. 재무영역은 다양한 업무가 진행하고 최종 목표는 재무제표를 작하는것입니다. 즉, 재무상태표(B/S : Balance Sheet)와 손익계산서를(P/L : Profit and Loss) 만들어 내야합니다. 재무상태표는 특정시점에 자산(Asset)과 부채(Liability)를 평하하는 것입니다. 자본(Equity)은 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손익계산서는 특정기간 회사에서 발생한 수익(Profit)과 비용(Loss)을 확인해 순수익을 계산합니다.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보험계리도 재무영역에 속합니다. 따라서 보험사의 자산과 부채를 평가하고 수익과 비용을 계산하는 일을 합니다. 자산과 부채를 평가하는 방법은 여려가지가 있지.. 2024. 3. 18.
보험계리사 시험 공부가 쓸데없는 2가지 이유 보험계리사를 준비하시나요? 강의는 듣고 있는데 문제가 잘 풀리지 않나요? 어떻게 공부를 해야할지 막막하시나요? 보험계리사를 처음 준비하거나 이제 막 공부를 시작했다면 정보를 찾기 어려울겁니다. 주변에 공부하는 사람도 많지않고 물어볼 사람도 없으니까요. 그래서 계리사준비하기 카페를 가보지만 정리된 자료를 찾기 힘들죠. 기간은 얼마나 잡아야하고는지. 강의는 무엇을 들어야 하는지. 어떤 문제를 풀어야 하는지. 제가 궁금한 것들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먼저 제 소개를 해야겠습니다. 저는 2016년에 취업한 직장인입니다. 보험계리사 시험은 2021년에 최종합격했습니다. 의아하시죠? 취업 전에 합격한 것도 아니고 취직 후 한참 뒤에 최종합격을 했으니? 지금부터 제 이야기를 들려드리겠습니다. 저는 수학을 전공했고 취.. 2024. 2. 14.
자격증시험 공부 오래하고 싶으면 이 글을 읽지 마세요. 자격증 시험공부를 자기 마음대로 하면 안된다. 새로 배운 내용 중 중요한 내용이나 공부할 내용을 자기 마음대로 정하서는 금방 합격할 수 없다. 강사가 알려준데로, 합격자가 말하는 방식대로 공부를 해야한다. 아직 합격하지 않은 사람이 '그렇게까지 할 필요없어'라고 하는 말을 믿으면 안된다. 자기마음대로 중요하다 싶은 내용을 정해서 공부하다보면 '기술'만 배우거나 '편식'을 하게 된다. 이 두가지를 버리지 못하면 수험생활이 길어진다.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새로운 것을 배우게된다. 무엇이 기본인지 모르면서 '기술'만 배우려 한다. 모든 기본기는 쓸데없어 보인다. 잘 모르기 때문에 겉모습만 인식된다. 시험시간 관리법, 시험 문제푸는 요령, 작년 기출문제의 모범답안. 이런 당장 써먹을 수 있는 기술만 보이게 .. 2024.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