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무튼, 계리사20

보험계리사란? 보험계리사란 보험상품의 가격과 가치를 정하는 사람입니다. 보험상품의 가격 = 보험료 보험계리사는 보험회사에 소속되어 회사가 판매하는 상품의 가격을 결정합니다. 상품의 가격은 보험료입니다. 보험계약자로 부터 적절한 보험료를 받아 미래에 발생할 지출 현금흐름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합니다. 미래 발생할 지출 현금흐름을 예상하기 위해서 통계가 활용됩니다. 미래를 예측하는 가장 합리적인 방법은 통계입니다. 통계를 이용해 미래 지출 현금흐름과 미래 수입 현금흐름을 일치시기는 적절한 보험료를 산출하는 일을 합니다. 보험상품의 가치 = 보험부채 판매된 상품은 보험계약자가 가입을 합니다. 가입한 보험계약자들은 계약을 유지하는 동안은 보험사에서 그들의 받을 권리를 보장해야 합니다. 보험계약자가 받을 권리는 보험사는 의무기 .. 2024. 1. 21.
절대 떨어지지 않는 면접의 기술 면접은 항상 어렵습니다. 누구나 마찬가지 입니다. 신입이던 경력이던 면접은 긴장됩니다. 저는 여러번 이직을 하며 많은 면접을 봤습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면접에 떨어지지 않고 합격하는 기술이 생겼습니다. 1. 평가받는 자리가 아닌 대화하는 자리. 보통 면접이라 하면 면접관에게 평가받는 자리로 생각합니다. 그래서 겁나고 긴장해 실수하면 안된다는 부담감이 생깁니다. 하지만 면접은 서로 대화하는 자리입니다. 면접관은 지원자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일을 할 수 있는지, 어떤 마음가짐으로 지원했는지 알지 못합니다. 지원자도 회사가 다닐만 한지, 어떤 일을 하는지, 어떤 사람들이 있는지, 기업문화는 어떤지 모릅니다. 서로의 궁금증을 알아기기 위해 시간을 내서 만나는 자리입니다. 그러니 질문을 받아도 긴장하지 .. 2024. 1. 16.
계리 전체 업무 흐름, 계리사가 하는일 계리사가 일하는 부서는 크게 상품, 계리, 리스크가 있습니다. 이 부서는 서로 일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보험회사의 데이터가 어떻게 흘러가는지를 이해하면 계리 업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상품개발 단계 상품개발 부서는 과거에 팔았던 상품을 살짝 바꾼 개정 상품이나 과거에 팔지 않았던 새로운 신상품을 개발합니다. 그리고 상품을 개발할 때 미래 수익을 예상해야 합니다. 이를 상품 수익성 PM(Profit Margin)이라고 합니다. 상품 수익성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예상되는 계약의 미래 현금흐름을 산출해 판매 시점의 예상 BEL, RA, CSM을 산출하고 각 충격에 대한 민감도를 함께 구해야 합니다. 여기서 예상되는 계약은 과거에 판매한 실적 데이터와 회사의 목표 물량을 바탕으로 만듭니.. 2023. 12. 20.
계리사로 일할 수 있는 직장 보험계리사가 취업할 수 있는 직장 또는 형태를 소개합니다. 원수사 - 손해보험사, 생명보험사 보험계리사를 준비하는 대부분의 사람이 손해보험사나 생명보험사에 취업합니다. 이들을 원수사라고 하며 보험산업을 이끌어 가는 회사입니다. 원수사도 국내사와 외국계회사로 나눌 수 있습니다. 손해보험협회에 등록된 회사는 19개 회사가 있습니다. 생명보험협회에 등록된 회사는 20개 회사가 있습니다 재보험사 보험회사의 보험사인 재보험사에서도 일할 수 있습니다. 재보험사는 국제적인 회사가 대부분입니다. 재보험은 손해보험으로 분류되지만 재보험만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회사를 재보험사로 생각하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스위스리, 뮌헨재보험, 코리안리, RGA, SCOR 등이 있습니다. 재보험사는 글로벌하게 업무가 진행됩니다. 따라서 외.. 2023. 12. 3.
시험과목과 실무의 관계 - 계리모형론 계리사 2차 과목은 어느 하나 만만한 과목이 없습니다. 과목마다 깊이도 있지만 다루는 범위가 매우 넓습니다. 시험을 보기 위해 많은 양을 공부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릴 수밖에 없습니다. 계리모형론도 범위가 매우 넓은 과목입니다. 미국계리사인 soa시험에서는 Advanced Short-Term Actuarial Mathematics (ASTAM)이란 과목으로 소개됩니다. 단기계리수학이란 의미입니다. 또 모형론의 내용은 Loss Model 손해모형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계리모형론 저는 수학과를 나와서 계리모형론이 매우 낯설었습니다. 반면 통계학과를 나온 친구들은 계리모형론을 아주 쉬워했습니다. 기본적으로 여러 확률분포가 소개됩니다. 각종 parameter 분포가 나오고 나중에는 empirical 분포까.. 2023. 11. 19.
K-ICS(킥스)란 무엇인가? 2023년 보험사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두 가지 제도 변경이 있습니다. IFRS17과 K-ICS입니다. 흔히 킥스라고 하는 K-ICS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합시다. 지급여력제도 지급여력제도란 금융회사의 재정건전성 확립을 위해 마련되어 있는 제도입니다. 최초는 은행의 BIS 자기 자본비율에서 출발했습니다. 이를 보험사에도 적용을 했고 IFRS4 기준에서는 RBC제도가 있었습니다. RBC제도란 지급여력비율을 150%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지급여력비율을 구하는 식은 간단합니다. 지급여력비율 = 가용자본 / 요구자본 재무상태표는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산 = 부채 + 자본입니다. 여기서 부채를 타인자본, 자본은 자기 자본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타인자본은 .. 2023. 11. 16.